*함에 들어가는 내용물*
결혼식을 올리기 전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물을 담아 보내는 상자를 일반적으로 함이라 합니다.
함은 오동나무함이 가장 좋지만 가격이 비싸고 귀하므로 근래에는 은행나무함이나 한지에 다홍빛
물감을 들인 지함, 나전칠기함 등을 이용합니다. 그 함 속에 넣어야 할 것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1. 오곡주머니:
분홍주머니:목화씨는 자손과 가문의 번창을 뜻하고 음력을 기준으로 신랑과 신부의 나이를 합쳐 목화씨를
넣어 서북쪽에 놓는다
붉은주머니:붉은 팥은 잡귀나 부정을 쫓는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서남쪽에 놓는다
노란주머니:노란 콩은 며느리의 심성이 부드럽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중앙에 놓는다
파란주머니:찹쌀은 부부의 해로를 기원하고 질긴 인연을 바란다는 뜻으로 동북쪽에 놓는다
연두주머니:향나무를 깍아 넣는 이유는 서로의 장래가 길하기를 기원하기 위함.동남쪽에 놓는다.
(하지만 이는 본래의 전통풍습은 아니므로 반드시 넣어야하는것은 아니고 지방마다 관습이 조금씩 다르므로 관습에
따라 다른 뜻있는 것들도 넣는데 신랑신부의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는 어느 곳이나 같다하겠습니다.)
2. 청.홍채단
여자의 음기를 상징하는 청색 비단은 붉은 색 한지에 싸서 청색 명주실로 매고, 남자의 양기를 상징하는 홍색 비단은
푸른 색 한지에 사서 붉은 색 명주실로 매어 청채단은 아래에, 홍채단은 위에 놓습니다.
현대에서는 완성된 한복(폐백용으로 사용할) 명주실은 매듭을 짓지 않고 동심결(이때 동심결은 매듭 부위를 잡아
당기면 한번에 매듭이 풀리도록 매어야합니다)로 얽어놓으며 한지의 위아래를 소통시켜 부부간의 막힘 없는 화합을
기원합니다. 그리고 신부가 사용할 예물과 화장품, 양장 한벌 핸드백 양산등 넣어주고 싶은 품목을 보냅니다.
그리고 결혼식에서 예물교환 과정이 있다면 반지는 추후에 신랑이 보관합니다.
3. 혼서지
귀한 따님을 며느리로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내용으로 신랑의 아버지가 직접 적는 혼서지는 예전에는
죽어서 무덤에까지 함께 넣어갈 정도로 신부에겐 귀중한 것으로서 일부종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쓰였습니다.
-혼서 쓰는법 : 사주단자는 길이 1자3치(30센치미터), 너비 9치2푼(28센치미터)정도의 두꺼운 한지 또는 백지를
다섯 칸으로 접어 그 한 가운데 육십 갑자에 따른 간지 즉, 생년월일과 출생시간을 씁니다. 붓으로 정중히 내려쓰며,
봉투는 아래와 위를 봉하지 않고 상, 중, 하의 위치에'謹封(근봉)’이라는 봉함지를 끼웁니다.
봉투는 봉투 길이보다 아래위로 각각 1센치미터 정도로 길게 잘라 그 중앙을 쪼갠 싸리가지 사이에
끼우고 청실, 홍실,둥근 타래실로 위쪽으로부터 매듭지지 않게 옭아 묶은 다음에 이것을 사주보에 싼 뒤 동심결을 매어 줍니다.
혼서지는 안팎이 검은색이나 안을 홍색으로 대어 세 겹인 겹보로 싸는데, 보에는 붉은 봉술이 네귀에 달려 있어야 합니다.
한자나 한글로 예를 갖추어 날짜, 성명, 간단한 인사말, 며느리로 맞아 주심에 대한 감사 표시등의 내용으로 작성하십시요
패물로는 기본적으로 쌍가락지(순금3돈)가 반드시 들어갑니다.외에 목걸이나 스톤반지 팔찌등 유색보석은 신랑신부가 의논해서
결정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단, 진주는 눈물을 의미한다하여 예물로는 사용치않습니다.
4. 물목기
물목기는 채단의 내용과 수량을 적은 것인데, 시주단지와 같은 크기 한지에 적어 혼서지와 함께
넣습니다.
<내용물 놓는 순서>
1. 한지를 함 바닥에 깝니다.
2. 5가지의 오곡주머니 중 4가지는 분홍 한지가 깔린 함의 네 귀퉁이에 놓이고 중앙에는 노란 주머니를 놓는다.
3. 그 위에 음을 상징하는 청채단을 먼저 넣습니다.
4. 그 위에 양을 상징하는 홍채단을 넣으세요.
5. 이렇게 청홍채단을 넣은 위에 신랑의 생년월일을 적은 사주를 홍 보자기에 싸서 3개의 근봉을 한 후 넣습니다.
이 때 함에 들어가는 종류를 적은 목록인 물목기도 함께 넣으십시요
6. 사주를 적은 한지를 넣은 후 혼인을 승낙한다는 내용의 혼서를 넣는데 혼서지는 네 모서리에 청색 수술을 달고
은지로 붙여서 만듭니다. 시중에 파는것이 있어요
7. 혼서지 싸는 보자기는 쪽풀 물감을 들인 천을 사용하는데. 싸리나무 가지나 수숫대를 사용하여
혼수감이 함 안에서 놀지 않게 한 후 함을 닫습니다.
8. 이것을 다시 빨간 보자기로 싸되 네 귀를 맞추어 싸매고(묶는것이 아니라), 남은 귀를 모아 매고 종이를 감는다.
9. 그리고 그 곳에 근봉이라고 쓰고 지고 갈 수 있게끔 걸방을 맨다. 걸방은 무명 8자로 된 함질 끈을 마련하여 석자는
땅에 끌리게 하고, 나머지는 고리를 만들어 함을 지도록 합니다. 함끈 역시 한번만 잡아 당기면 매듭이 풀리도록
하는데 이는 두사람의 앞날이 순탄하게 이어지고 매사가 순조롭게 풀리기를 바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함진애비
함을 홍색 겹보자기에 싸되, 네 귀퉁이를 맞춰 묶지 않고 '근봉'이라 쓴 종이로 감습니다. 함은 옻 칠한 함이나
자개함이 보통이지만 요즘에는 신혼여행 가방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단, 여행가방은 튼튼한것으로 채단집에서
준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약해보이는 가방이라면 가방보다는 차라리 지함으로 받고 여행가방은 별도로 준비하는것이
여행중에 가방이 파손되어 낭패보는 일을 면할수 있습니다.
함어깨끈 만들기
함진아비가 함을 매고 갈 수 있도록 무명필로 어깨끈을 만듭니다. 걸방은 무명 8자로 된 함 질 끈을 마련하여
석자는 땅에 끌리게 하고, 나머지는 고리를 만들어 함을 지도록 합다. 함 끈 역시 한번만 잡아 당기면 매듭이
풀리도록 하는데 이는 두 사람의 앞날이 술술 풀리기를 희망하는 의미를 갖는다는군요.
그러나, 신랑이 직접 갖고 갈 경우엔 어깨끈을 만들지 않습니다.
함 보내고 받는 법
신랑집에서는 봉치떡을 정성껏 찐 다음, 시루째 소반 위에 놓고 그 위에 혼수함을 올려 놓았다가 갖고갑니다.
함을 지고 가는 함진아비는 대개 아들을 낳고 금슬이 좋은 사람으로 선정합니다. 함진아비는 함을 도중에 내려 놓지 않고
신부집까지 가야 합니다. 신부집에서도 함을 받으면 봉치떡 시루 위에 함을 올려 놓았다가 신부의 아버지가
함을 반쯤 열고, 혼서지를 꺼내 본 뒤 방으로 들여 보냅니다.
봉치떡은 신랑 신부집 양쪽에서 모두 준비합니다. 찹쌀 두 켜에 팥고물을 넣고 가운데 대추와 밤을 박아 만들어요.
대추와 밤은 따로 떠 놓았다가 혼인 전날 신부가 먹도록 합니다. 남은 봉치떡은 집밖으로 내가지않는것이 풍습입니다.
'김윤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공부를 잘하는 지름 길. (0) | 2016.11.02 |
---|---|
[스크랩] 전국 자연휴양림 숙박 예약 방법 총정리 (0) | 2015.04.05 |
[스크랩] 어머니는 영원히 아름답다 (0) | 2015.01.29 |
[스크랩] 아이 망치는 엄마의 무의식적 습관 50가지 (0) | 2014.03.11 |
[스크랩] 현대 혼례상식: 결혼절차. 사성보내는 법. 연길과 예단보내는 법. 함 보내는 법, 예단편지 예문 (0) | 2014.02.28 |